티스토리 뷰
목차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Busan Digital Asset Exchange, 이하 BDAX)가 AI 디지털 트윈 기술을 기반으로 스테이블 코인 발행·유통 플랫폼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국내 스테이블 코인 결제 시장 선점을 목표로 한 로드맵을 발표하며, 원화 기반 스테이블 코인 ‘KRDT’의 추가 발행 소식을 전하면서 관련 주식 시장 테마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는 부산이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로서 글로벌 디지털 금융 허브로 도약하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AI와 블록체인 기술을 융합한 혁신적 금융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이와 관련된 주식 시장 테마, 구성 요소, 그리고 국내 관련 상장 기업의 역할과 전망을 상세히 서술하겠습니다.
1.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와 스테이블 코인 테마 개요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BDAX)는 2024년 10월 28일 ‘블록체인 위크 인 부산(BWB) 2024’에서 공식 브랜드명 ‘비단(Busan Digital Asset Nexus, BDAN)’을 발표하며 출범했습니다. 비단은 실물자산 연계(RWA) 토큰화와 증권형 토큰(STO)을 중심으로 한 4세대 블록체인 거래소로, 귀금속(금, 은, 팔라듐 등), 원자재, 탄소배출권 등을 토큰화해 거래하는 플랫폼입니다.
특히, AI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스테이블 코인 발행·유통 플랫폼 구축은 거래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국내 결제 시장에서 원화 기반 스테이블 코인(KRDT)의 활용을 확대하려는 전략의 핵심입니다.
스테이블 코인은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달러나 원화 같은 법정화폐, 또는 기타 자산(국채, 금 등)에 가치를 고정시킨 디지털 자산으로, 결제, 송금, 가치 저장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BDAX는 KRDT를 통해 전세 사기 방지, 농수산물 이력 추적, 디지털 자산 거래의 신뢰성 강화를 목표로 하며, 이는 국내 금융 시스템의 디지털 전환과 원화 경제권 강화를 위한 중요한 움직임으로 평가됩니다. 또한, AI 디지털 트윈 기술은 자산의 실시간 데이터 관리, 거래 프로세스 최적화, 보안 강화를 가능케 하여 스테이블 코인 생태계의 혁신을 촉진합니다.
주식 시장 테마와 구성 요소
스테이블 코인 관련 주식 시장 테마는 블록체인 기술, 디지털 자산 거래소, 전자결제, 인증 및 보안, AI 기술 등이 융합된 복합 테마로,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블록체인 기술: 4세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분산형 거래소 운영, 토큰화된 자산의 관리,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결제 시스템.
- 스테이블 코인 발행·유통: 원화 기반 KRDT를 포함한 스테이블 코인의 발행, 거래소 내 유통, 결제 시스템 연계.
- AI 디지털 트윈: 자산의 디지털화, 거래 데이터의 실시간 분석, 보안 및 투명성 강화를 위한 AI 기술.
- 전자결제 및 ATM 시스템: 스테이블 코인을 활용한 결제 인프라, 무인화 결제 시스템, ATM 네트워크 구축.
- 보안 및 인증: 블록체인 기반 거래의 보안성 확보, 디지털 인증 기술, KYC/AML 솔루션.
- STO 및 NFT 시장: 증권형 토큰(STO)과 대체불가능토큰(NFT)을 포함한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
이 테마는 부산이 블록체인 특구로서 글로벌 디지털 금융 허브로 자리 잡으려는 비전과 맞물려 있으며, 국내외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2.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의 전략과 KRDT
BDAX는 센골드(SenGold) 플랫폼 인수를 통해 누적 거래액 1조 1,000억 원, 회원 118만 명의 기반을 확보했으며, 2024년 12월 30일 비단의 베타 버전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센골드는 금, 은, 구리 등 7종의 귀금속과 비철금속 교환권을 거래하며, 매수한 자산을 실물로 인출하거나 시세에 따라 매도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시스템입니다.BDAX는 이를 기반으로 KRDT 발행과 유통을 통해 국내 결제 시장을 선점하려는 로드맵을 발표했습니다. KRDT는 이더리움(ETH), 베이스(Base), BNB 스마트체인(BSC) 기반으로 발행되며, 글로벌 스테이블 코인(USDT, USDC 등)과의 연동을 통해 해외 활용도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BDAX는 일본 ODX, 싱가포르 ADDX, 말레이시아 GreenX, 태국 TokenX, 캄보디아 MKEX 등 5개 해외 거래소와 ‘아시아 디지털자산 거래소 얼라이언스(ADEA)’를 출범하여 글로벌 네트워크를 강화했습니다. 또한, AI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해 자산의 실시간 데이터 관리, 거래 투명성, 보안성을 높이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으며, 이는 전세 사기 방지, 농수산물 이력 추적 등 다양한 실용적 서비스로 확장될 예정입니다.
3. 국내 스테이블 코인 관련 상장 기업 및 역할
스테이블 코인과 BDAX 관련 테마는 블록체인, 전자결제, 보안 인증, AI 기술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을 포함합니다. 아래는 주요 국내 상장 기업과 그들의 역할 및 전망입니다:
1) 아이티센 (ITCE, 124500)
- 역할: BDAX의 2대 주주로, 센골드 인수와 플랫폼 확장에 핵심적 기여. 블록체인 기반 인증 시스템과 STO 사업을 추진하며, 국내외 MOU를 통해 시장 개척.
- 기술: 센골드 플랫폼을 활용한 토큰화 자산 거래, 블록체인 기반 인증 및 결제 솔루션 개발. AI 기반 데이터 관리 기술로 디지털 자산 거래의 효율성 강화.
- 시장 반응: BDAX 출범 후 주가 상승세 기록, 스테이블 코인 테마주로 주목.
- 전망: BDAX 컨소시엄의 리더로서 국내 스테이블 코인 시장 선점과 글로벌 시장 진출 가능성 높음.
2) 한국정보인증
- 역할: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인증 및 보안 솔루션 제공. KRDT 거래의 KYC/AML 인증 시스템 구축.
- 기술: 공인인증서, 블록체인 기반 신원 인증 기술로 거래 보안성 강화.
- 시장 반응: 스테이블 코인 대장주로 분류되며 주가 상승.
- 전망: 스테이블 코인 결제 시스템의 보안 수요 증가로 안정적 성장 예상.
3) 케이씨티 (KCT)
- 역할: 블록체인 및 전자결제 기술 제공, 스테이블 코인 결제 인프라 지원.
- 기술: VAN 사업과 무인화 결제 시스템으로 KRDT 결제 네트워크 구축에 기여.
- 시장 반응: 스테이블 코인 테마주로 주목받으며 주가 상승.
- 전망: 무인 결제 시스템 수요 증가로 스테이블 코인 결제 시장에서 경쟁력 강화.
4) 한네트
- 역할: ATM 및 금융 거래 시스템 전문 기업으로, KRDT 입출금 및 결제 지원 시스템 구축.
- 기술: 블록체인 기반 ATM 플랫폼, 무인 결제 시스템 개발.
- 시장 반응: 스테이블 코인 도입 기대감으로 주가 상승.
- 전망: 유통업체의 무인 결제 시스템 확대와 스테이블 코인 연계로 성장 가능성 높음.
5) 다날
- 역할: 전자결제 및 블록체인 기반 결제 솔루션 제공. 페이코인(PCI)을 스테이블 코인으로 환전 가능.
- 기술: 휴대폰 결제, 신용카드, 바코드 결제 등 다양한 결제 서비스와 블록체인 기술 통합.
- 시장 반응: 페이코인과 스테이블 코인 결제 시장 기대감으로 주가 상승.
- 전망: 페이코인의 스테이블 코인 연계와 결제 시장 확대 가능성.
6) 위메이드
- 역할: 블록체인 기반 게임 및 NFT 플랫폼 운영, 자체 스테이블 코인 ‘위믹스 달러(WEMIX$)’ 발행.
- 기술: 위믹스3.0 메인넷을 통해 게임, NFT, DeFi 생태계에서 스테이블 코인 활용.
- 시장 반응: 스테이블 코인 및 블록체인 테마주로 주가 상승.
- 전망: 게임과 디지털 자산 생태계 확장으로 스테이블 코인 시장에서 독보적 위치 가능.
7) 한컴위드
- 역할: 블록체인 기반 인증 및 보안 솔루션 제공, KRDT 거래 보안 강화.
- 기술: 블록체인 인증 시스템과 AI 기반 데이터 관리 솔루션.
- 시장 반응: 스테이블 코인 관련주로 부각되며 주가 상승.
- 전망: 보안 인증 수요 증가로 안정적 성장 전망.
8) 갤럭시아머니트리
- 역할: 전자결제 및 블록체인 기반 결제 플랫폼 운영, STO 및 NFT 거래 지원.
- 기술: 머니트리 플랫폼과 블록체인 기반 결제 및 조각투자 서비스.
- 시장 반응: 스테이블 코인 결제 시장 기대감으로 주가 상승.
- 전망: NH농협은행 및 증권사들과의 협력으로 STO 시장 확대 가능.
9) 아톤
- 역할: 블록체인 기반 인증 및 보안 솔루션 제공.
- 기술: 금융기관 대상 KYC/AML 솔루션으로 KRDT 거래 보안성 강화.
- 시장 반응: 스테이블 코인 테마주로 주목.
- 전망: 디지털 자산 거래의 보안 수요 증가로 성장 가능성.
10) 로지시스
- 역할: 금융기관 및 공공기관 대상 전산장비 유지보수, KRDT 결제 시스템 지원.
- 기술: VAN 및 ATM 시스템 관리로 스테이블 코인 결제 인프라 구축.
- 시장 반응: 스테이블 코인 관련주로 주가 상승.
- 전망: 무인화 결제 시스템 수요 증가로 안정적 성장 가능.
4. 도전 과제와 전망
BDAX와 스테이블 코인 관련 테마는 큰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다음과 같은 도전 과제가 존재합니다:
- 규제 불확실성: 금융위원회와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는 BDAX의 해외 거래소 협력에 대해 경계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원화 스테이블 코인의 법제화와 감독 체계가 필요합니다.
- 글로벌 경쟁: USDT, USDC 등 달러 기반 스테이블 코인이 글로벌 시장을 지배하고 있으며, KRDT의 해외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글로벌 연계가 필수적입니다.
- 기술 내재화: AI 디지털 트윈과 블록체인 기술의 융합은 초기 투자 비용이 크며, 기술 안정성과 보안성이 중요합니다.
- 자본 유출 우려: 달러 기반 스테이블 코인의 국내 거래 대금이 2024년 4월 약 8조 원을 기록하며 자본 유출 위험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원화 기반 KRDT는 이를 완화할 수 있는 대안으로 기대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BDAX는 부산의 블록체인 특구 지위를 활용해 공공성과 신뢰성을 강조하며, 민간 자본과 부산시의 지원을 바탕으로 글로벌 디지털 자산 거래소로 도약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KRDT는 국내 결제 시장에서 원화 기반 거래를 활성화하고, AI 디지털 트윈 기술은 거래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여 디지털 금융 생태계의 혁신을 이끌 것으로 전망됩니다.
5. 결 론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의 AI 디지털 트윈 기술 기반 스테이블 코인 발행·유통 플랫폼 구축과 KRDT 추가 발행은 국내 디지털 자산 시장의 새로운 전환점을 예고합니다. 아이티센, 한국정보인증, 케이씨티, 한네트, 다날, 위메이드, 한컴위드, 갤럭시아머니트리, 아톤, 로지시스 등은 블록체인, 전자결제, 보안 인증, AI 기술을 통해 이 테마의 핵심 기업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들 기업은 BDAX의 비단 플랫폼과 KRDT를 활용해 결제, 인증, 거래 인프라를 구축하며, 국내 스테이블 코인 시장 선점과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원화 기반 스테이블 코인은 자본 유출 방지와 디지털 금융 주권 강화를 위한 전략적 대안으로, AI 디지털 트윈 기술은 거래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핵심 요소로 작용할 것입니다. 정부와 기업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규제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기술 경쟁력을 강화한다면, BDAX와 관련 기업들은 글로벌 디지털 자산 시장에서 선도적 위치를 확보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