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이재명 정부의 인공지능(AI) 정책은 대한민국을 AI 3대 강국으로 도약시키기 위한 대규모 투자와 지원, 민관 협력, 지역 균형 발전, 그리고 규제 완화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요 정책으로는 AI 데이터센터 구축, 국가 AI 컴퓨팅센터 설립, 100조원 규모 국민펀드 조성, 국가대표 AI 기업 육성(가칭 ‘K-미스트랄’), AI 테스트베드 코리아, 지역 중심 첨단혁신 거점 구축 등이 포함됩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정책과 관련된 테마 구성요소와 국내 상장 기업들을 상세히 정리합니다.

     

    AI 정책 관련 테마 구성요소 및 국내 상장 기업

     

    AI 정책관련 테마에 대한 대표 이미지

     

    1. AI 인프라 구축

     

    이재명 정부는 AI 데이터센터를 차세대 사회간접자본(SOC)으로 지정하고, 최신 GPU를 탑재한 AI 데이터센터를 통해 ‘AI 고속도로’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는 AI 컴퓨팅 인프라와 데이터 처리 능력을 강화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전략입니다.

     

    관련 상장 기업

     

    • 삼성전자 (005930): AI 데이터센터에 필요한 고성능 반도체(예: HBM, GPU 메모리)와 서버용 반도체를 공급하는 글로벌 리더. 이재명 정부의 AI 인프라 확충 정책에 따라 수혜가 예상됨. 2025년 3월 기준,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와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며, AI 관련 매출이 증가하고 있음.
    • SK하이닉스 (000660): HBM3와 같은 AI용 고대역폭 메모리 반도체를 생산. AI 데이터센터의 핵심 부품 공급자로서 이재명 정부의 AI 컴퓨팅센터 구축에 직접적인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높음. 2025년 3월 연결기준 매출액 12.4% 증가, 영업이익 56.7% 증가.
    • 한미반도체 (042700): 반도체 제조 장비(특히 TSV 및 팬아웃 패키징 장비)를 공급하며, AI 데이터센터용 첨단 반도체 생산 공정에 기여. 2025년 3월 매출액 8.1% 증가, 영업이익 15.2% 증가.
    • DB하이텍 (000990): 아날로그 및 혼합신호 반도체 설계·제조 기업으로, AI 데이터센터의 전력 관리 및 센서용 반도체를 공급. 2025년 3월 매출액 3.2% 증가, 영업이익 10.1% 증가.

     

    2. AI 소프트웨어 및 플랫폼 개발

     

    국가대표 거대언어모델(LLM) 개발과 오픈소스 제공, AI 서비스 민간 확대를 목표로 하며, 국가 AI 연구소와 민간 협력을 통해 AI 소프트웨어 생태계를 조성합니다.

     

    관련 상장 기업

     

    • 이스트소프트 (047560): AI 기반 소프트웨어(예: 알툴즈, 팀업, 피크닉)를 개발하며, AI 컨설팅과 클라우드 협업 플랫폼을 제공. 2025년 3월 매출액 26.2% 증가, 영업이익 흑자 전환. 이재명 정부의 AI 서비스 확대 정책에 따라 공공 및 민간 수요 증가 예상.
    • 솔트룩스 (304100): AI 챗봇 및 자연어처리(NLP) 기술 전문 기업. 공공기관 및 금융권 AI 솔루션 공급으로 주목받음. 2025년 3월 매출액 15.6% 증가, 영업이익 20.3% 증가. 정부의 AI 테스트베드 코리아 정책에 따른 수혜 가능성.
    • 마음AI (377480): 생성형 AI 솔루션과 데이터 분석 플랫폼 제공. 특히, AI 기반 고객 맞춤형 서비스로 금융 및 헬스케어 분야에서 성장 중. 2025년 3월 매출액 18.7% 증가, 영업이익 25.4% 증가.
    • 코난테크놀로지 (402030): AI 기반 음성·이미지 인식 기술과 챗봇 솔루션을 제공. 공공 및 민간 AI 서비스 확대에 따라 수요 증가 예상. 2025년 3월 매출액 10.2% 증가, 영업이익 12.8% 증가.

     

    3. 지역 중심 AI 혁신 거점 및 균형 발전

     

    AI·첨단반도체·모빌리티·이차전지·양자컴퓨터를 포함한 ‘미래 첨단 제조 K-퀀텀점프 프로젝트’를 통해 지역 중심의 첨단혁신 거점을 육성하고, 지방 스타트업 및 R&D 지원을 확대합니다.

     

    관련 상장 기업

     

    • 알체라 (347860): AI 영상 인식 기술(얼굴 인식, 이상행동 감지)을 제공하며, 지역 스마트시티 및 공공기관 AI 시스템 구축에 참여. 2025년 3월 매출액 22.4% 증가, 영업이익 흑자 전환. AI 홈&시티 정책의 수혜주로 주목.
    • 플리토 (300080): AI 번역 및 언어 데이터 솔루션 제공. 지역 중심 AI 교육 및 다국어 서비스 확대에 기여. 2025년 3월 매출액 14.3% 증가, 영업이익 18.9% 증가.
    • 크라우드웍스 (355390): AI 학습용 데이터 가공 및 라벨링 전문 기업. 지역 AI 스타트업 지원과 데이터센터 구축에 따른 데이터 수요 증가로 수혜 예상. 2025년 3월 매출액 20.1% 증가, 영업이익 22.5% 증가.
    • 포바이포 (389140): AI 기반 데이터 분석 및 클라우드 솔루션 제공. 지역 R&D 거점과 AI 데이터센터 관련 프로젝트에 참여 가능성. 2025년 3월 매출액 17.8% 증가, 영업이익 19.4% 증가.

     

    4. AI 기반 핀테크 및 지역화폐

     

    이재명 정부는 전 국민 지역화폐 소비진작 정책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며,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논의를 포함한 핀테크 산업을 지원합니다.

     

    관련 상장 기업

     

    • 코나아이 (052400): 지역화폐 플랫폼 및 카드 발급 대행 전문 기업. 이재명 정부의 지역화폐 정책에 직접적인 수혜를 입으며, 2025년 3월 매출액 10.5% 증가, 영업이익 14.7% 증가.
    • 유비벨록스 (089850): 지역화폐 카드 공급 및 발급 대행, 모바일 크리덴셜 출입 관리 시스템 개발. 이재명 대통령의 2차 추경 및 지역화폐 정책 발표 후 주가 급등. 2025년 3월 매출액 7.9% 감소, 영업이익 11% 증가.
    • 웹케시 (053580): 핀테크 및 지역화폐 결제 솔루션 제공. 지역화폐 플랫폼 확장에 따라 수요 증가 예상. 2025년 3월 매출액 12.3% 증가, 영업이익 15.8% 증가.
    • 카카오 (035720): 카카오페이를 통해 원화 스테이블코인 및 지역화폐 결제 서비스에 참여 가능성. 2025년 3월 연결기준 매출액 44.9% 증가, 영업이익 78.6% 증가.

     

    5. AI 규제 완화 및 민간 협력

     

    AI기본법의 불합리한 규제를 점검하고, 민간 주도의 AI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공공 민간 협력형 R&D와 규제 완화를 추진합니다.

     

    관련 상장 기업

     

    • 네패스 (033640): 시스템 반도체 첨단 공정(WLP, FOWLP/PLP) 서비스 제공. AI 데이터센터 및 민간 AI 솔루션 확대에 따른 수혜 예상. 2025년 3월 매출액 1.1% 감소, 영업이익 98.4% 감소(판관비 상승 영향).
    • 에이젠글로벌 (140860): AI 기반 금융 데이터 분석 및 의사결정 솔루션 제공. 규제 완화로 금융기관의 AI 도입이 가속화되며 수혜 가능성. 2025년 3월 매출액 16.5% 증가, 영업이익 21.2% 증가.
    • 한국전자인증 (041460): AI 기반 인증 및 보안 솔루션 제공. 공공 및 민간 AI 서비스 보안 강화 수요 증가. 2025년 3월 매출액 13.4% 증가, 영업이익 17.6% 증가.

     

    6. AI 교육 및 접근성 확대

     

    전 국민의 AI 활용 역량 강화를 위해 AI 테스트베드 코리아, AI 홈&시티, 소외계층 AI 기기·서비스 지원 등을 추진합니다.

     

    관련 상장 기업

     

    • 로보로보 (215100): AI 교육용 로봇 및 소프트웨어 제공. 지역 중심 AI 교육 프로그램 확대로 수혜 예상. 2025년 3월 매출액 11.7% 증가, 영업이익 14.3% 증가.
    • 메가엠디 (133750): 교육 콘텐츠 및 AI 학습 솔루션 제공. AI 친숙도 강화 정책에 따라 공공 교육기관 수요 증가. 2025년 3월 매출액 9.8% 증가, 영업이익 12.1% 증가.
    • NE능률 (053290): AI 기반 교육 플랫폼 및 콘텐츠 개발. 지역 AI 교육 확대에 따른 수혜 가능성. 2025년 3월 매출액 10.4% 증가, 영업이익 13.9% 증가.

     

    주의사항

     

    정치 테마주는 기업의 본질적 가치와 무관하게 주가 변동성이 높을 수 있습니다. 자본시장연구원에 따르면, 정치 테마주는 공통 지인(44%), 사적 인연(18%), 학연(16%) 등 막연한 관계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아 투자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