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면역항암제에 대한 대표이미지

    면역항암제는 환자의 면역체계를 활성화해 암을 치료하는 차세대 항암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PD-1 억제제, CAR-T 등 최신 치료 동향과 삼성바이오로직스, 에이비엘바이오, 셀트리온 등 국내 상장기업들의 면역항암제 파이프라인과 투자 포인트를 체계적으로 정리했습니다.

    이하에서는 면역항암제 관련 최신 동향과 한국 내 관련 상장기업 및 테마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면역항암제 최신 뉴스 및 동향

     

    면역항암제는 주로 면역관문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s), CAR-T 세포 치료제, 암 백신, 면역 조절제 등으로 나뉘며, PD-1/PD-L1 억제제와 CTLA-4 억제제가 대표적입니다. 최근 글로벌 및 국내 동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글로벌 동향:
      • PD-1/PD-L1 억제제: 키트루다(Keytruda, 머크)와 옵디보(Opdivo, BMS)는 다양한 암종(폐암, 흑색종, 신장암 등)에서 적응증을 확대하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이들 약물은 글로벌 면역항암제 시장의 약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CAR-T 세포 치료제: 노바티스의 킴리아(Kymriah)와 길리어드의 예스카타(Yescarta)는 혈액암 치료에서 성공을 거두었으며, 고형암으로의 적용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 AI 기반 신약 개발: AI 기술을 활용해 면역항암제 타겟을 발굴하거나 약물 효능을 최적화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Exscientia와 같은 기업은 AI로 면역항암제 개발 속도를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 2024년 주요 뉴스: 미국 FDA는 2024년에 새로운 PD-1 억제제 조합 요법을 승인했으며, ASCO(미국임상종양학회)에서는 고형암 대상 CAR-T 요법의 임상 결과가 발표되어 주목받았습니다.
    • 국내 동향:
      • 한국은 면역항암제 개발에서 빠르게 성장 중이며, 특히 바이오시밀러신규 타겟 면역항암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2024년 상반기, 국내 제약사들은 글로벌 제약사와의 협력 및 기술 이전 계약을 통해 면역항암제 파이프라인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정부는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을 위해 2024년 약 2조 원 규모의 R&D 예산을 배정하며, 면역항암제 관련 연구를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2. 면역항암제 테마 구성과 관련된 국내 상장기업

     

    한국의 면역항암제 테마는 주로 바이오시밀러, 신약 개발, 진단 및 플랫폼 기술로 구성되며, 관련 상장기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각 기업의 주요 파이프라인과 특징을 정리했습니다.

     

    테마 구성 요약

     

    • 바이오시밀러: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 이중항체 및 신규 타겟: 에이비엘바이오, 유한양행
    • T세포 및 면역증강: 제넥신, 네오이뮨텍
    • DNA 백신 및 플랫폼: 진원생명과학
    • 장기 지속형 기술: 한미약품

     

    한국 면역항암제 관련 상장기업

     

    1. 삼성바이오로직스 (207940)

    • 주요 역할: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MO) 및 위탁개발(CDO)
    • 면역항암제 연관성: 글로벌 제약사의 면역항암제(키트루다, 옵디보 등) 바이오시밀러 및 신약 생산을 담당. 2024년 기준, 세계 최대 바이오의약품 생산 능력을 보유.
    • 최근 동향: 2024년 상반기, 면역항암제 바이오시밀러 생산 계약을 추가로 체결하며 매출 성장.
    • 주요 파이프라인: 직접적인 신약 개발보다는 생산 기술 중심. 글로벌 제약사와의 파트너십 강화.

     

    2. 셀트리온 (068270)

    • 주요 역할: 바이오시밀러 및 신약 개발
    • 면역항암제 연관성: 항암제 바이오시밀러(리툭시맙, 트라스투주맙) 개발로 기반을 다졌으며, 면역항암제 신약 개발에 진출.
    • 최근 동향: 2024년, PD-1 억제제 바이오시밀러 임상 3상 진입.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한 유럽 및 미국 FDA 승인 절차 진행 중.
    • 주요 파이프라인: CT-P16(베바시주맙 바이오시밀러), 면역항암제 조합 요법 연구.

     

    3. 에이비엘바이오 (298380)

    • 주요 역할: 이중항체 기반 면역항암제 개발
    • 면역항암제 연관성: 이중항체 기술로 PD-1/PD-L1 경로와 다른 면역 타겟을 동시에 공략하는 신약 개발.
    • 최근 동향: 2024년, ABL103(이중항체 면역항암제)이 임상 1상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발표하며 글로벌 파트너십 논의 중.
    • 주요 파이프라인: ABL001, ABL111(이중항체 기반 고형암 치료제).

     

    4. 제넥신 (095700)

    • 주요 역할: 면역항암제 및 백신 플랫폼 개발
    • 면역항암제 연관성: 독자적인 하이브리드 Fc 기술(hyFc)을 활용한 면역항암제 및 암 백신 개발.
    • 최신 동향: 2024년, GX-I7(IL-7 기반 면역항암제)이 고형암 대상 임상 2상에서 유망한 데이터 발표.
    • 주요 파이프라인: GX-I7, GX-188E(HPV 관련 암 백신).

     

    5. 네오이뮨텍 (950220)

    • 주요 역할: T세포 기반 면역항암제 개발
    • 면역항암제 연관성: IL-7 기반 T세포 증폭 기술로 면역항암제 효과를 극대화.
    • 최신 동향: 2024년, NT-I7이 미국 FDA로부터 희귀의약품 지정(Orphan Drug Designation) 획득.
    • 주요 파이프라인: NT-I7(고형암 및 혈액암 조합 요법).

     

    6. 유한양행 (000100)

    • 주요 역할: 신약 개발 및 오픈 이노베이션
    • 면역항암제 연관성: 글로벌 제약사와 협력하여 면역항암제 파이프라인 강화.
    • 최신 동향: 2024년, 면역항암제 조합 요법 관련 기술 이전 계약 체결.
    • 주요 파이프라인: YH32367(이중항체 기반 항암제).

     

    7. 한미약품 (128940)

    • 주요 역할: 신약 개발 및 바이오의약품
    • 면역항암제 연관성: LAPS 기술을 활용한 장기 지속형 면역항암제 개발.
    • 최신 동향: 2024년, 면역항암제와 표적항암제 조합 요법 임상 2상 진입.
    • 주요 파이프라인: HM16390(면역항암제 조합 요법).

     

    8. 진원생명과학 (011000)

    • 주요 역할: DNA 백신 및 면역항암제
    • 면역항암제 연관성: DNA 백신 기술을 활용한 암 백신 개발.
    • 최신 동향: 2024년, GLS-102(간암 대상 DNA 백신) 임상 2상 데이터 발표 예정.
    • 주요 파이프라인: GLS-102, GLS-6150.

     

    3. 투자 관점에서의 테마 전망

     

    • 시장 전망: 글로벌 면역항암제 시장은 2023년 약 1,000억 달러에서 2030년까지 2,000억 달러 이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출처: 시장조사 보고서). 한국 기업들은 바이오시밀러와 신약 개발을 통해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 투자 포인트:
      •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안정적인 CMO/CDO 및 바이오시밀러 매출로 안정적 성장.
      • 에이비엘바이오, 제넥신, 네오이뮨텍: 신약 파이프라인의 임상 성공 여부에 따라 고위험/고수익 가능성.
      • 유한양행, 한미약품: 글로벌 제약사와의 협력으로 기술 이전 수익 기대.
    • 위험 요인: 임상 실패, 규제 승인 지연, 글로벌 경쟁 심화.

     

    4. 결  론

     

    한국의 면역항암제 관련 상장기업들은 바이오시밀러, 이중항체, T세포 치료, DNA 백신 등 다양한 접근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키우고 있습니다. 특히 2024년에는 임상 데이터 발표와 기술 이전 계약이 주목받으며,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각 기업의 파이프라인 진행 상황과 글로벌 파트너십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