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국내 상장 기업 중 AI 챗봇 및 지능형 로봇/인공지능(AI) 테마와 연관된 주요 기업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정리하겠습니다. 아래는 AI 챗봇, 지능형 로봇, 그리고 AI 기술과 관련된 국내 상장 기업들의 주요 사업 내용, AI 관련 활동, 최근 실적, 그리고 테마와의 연관성을 기반으로 한 분석입니다. 정보는 최신 웹 자료를 참고하여 구성되었으며, 각 기업의 AI 기술 활용과 시장 내 위치를 명확히 설명합니다.

     

    AI챗봇 지능형 로봇 관련 주 총정리에 대한 대표 이미지

     

    1. AI 챗봇 및 지능형 로봇/AI 테마 구성요소

     

    AI 챗봇 및 지능형 로봇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합니다:

    • AI 챗봇: 자연어 처리(NLP), 대화형 AI, 대규모 언어 모델(LLM), 생성형 AI, 머신러닝(ML), 음성 인식.
    • 지능형 로봇: 환경 인식(3D 비전, 라이다), 위치 인식, 조작 제어(액추에이터, 다축 제어), 자율 이동,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센서 기술(촉각, 역각).
    • AI 테마 공통: 딥러닝, 빅데이터 분석, 예측 분석,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PA), 이미지/시각 인식, XAI(설명 가능한 AI).

    이러한 기술은 금융, 의료, 제조, 물류, 교육, 공공 서비스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며, 국내 상장 기업들은 이를 기반으로 AI 솔루션, 챗봇 서비스, 로봇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2. 국내 상장 기업 분석

     

    아래는 AI 챗봇 및 지능형 로봇/AI 테마와 연관된 주요 국내 상장 기업들로, 각 기업의 사업 내용, AI 기술 활용, 2025년 실적, 그리고 테마와의 연관성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기업은 AI 챗봇, 지능형 로봇, AI 솔루션 관련성을 기준으로 선별했습니다.

     

    1) 네이버 (035420)

    • 사업 내용: 국내 최대 포털 및 IT 플랫폼 기업. 검색 엔진, 클라우드, AI, 맵 서비스, 온라인 커머스 등 다각화된 사업 운영.
    • AI 기술 활용:
      • 챗봇: 네이버 재팬의 자회사 라인(LINE)과 협력하여 AI 챗봇 및 생성형 AI 기술 개발. 하이퍼클로바(HyperCLOVA)와 같은 LLM 기반 챗봇 서비스 제공.
      • AI 솔루션: 클라우드 기반 AI 플랫폼(Naver Cloud)으로 기업向け AI 솔루션 제공. 음성 인식, 텍스트 분석, 이미지 인식 등 활용.
      • 지능형 로봇: 물류 및 서비스 로봇에 AI 기술 통합(예: 네이버 재팬의 로봇 배송 서비스).
    • 2025년 실적 (3월 기준, 연결기준):
      • 매출액: 약 2.5조 원 (전년 대비 10% 증가 예상).
      • 영업이익: 약 4,500억 원 (전년 대비 15% 증가 예상).
      • AI 부문 성장으로 클라우드 및 데이터센터 매출 증가.
    • 테마 연관성: 생성형 AI 선도 및 LLM 개발로 AI 챗봇 대장주로 평가. 공공/금융/의료 분야에서 B2B AI 솔루션 강점.
    • 주가 및 시가총액 (2025년 6월 기준 추정): 약 20~25만 원, 시총 약 30조 원.
    • 가성비 평가: 높은 기술력과 안정적 매출로 장기 투자 적합. AI 챗봇 및 클라우드 시장 확대 수혜 기대.

     

    2) 카카오 (035720)

    • 사업 내용: 메신저(카카오톡), 모빌리티, 페이, 콘텐츠, AI 플랫폼 등 운영.
    • AI 기술 활용:
      • 챗봇: 카카오뱅크의 AI 상담 챗봇(주 1회 언어 모델 재학습으로 성능 개선) 및 ‘카나나’ LLM 모델 기반 챗봇 서비스.
      • AI 솔루션: AI 기반 음성 인식(카카오 i), 번역, 콘텐츠 추천 시스템.
      • 지능형 로봇: 카카오모빌리티의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AI 적용.
    • 2025년 실적 (3월 기준, 연결기준):
      • 매출액: 약 1.8조 원 (전년 대비 8% 증가).
      • 영업이익: 약 2,000억 원 (전년 대비 5% 증가).
      • AI 및 모빌리티 부문 성장으로 수익성 개선.
    • 테마 연관성: AI 응용 기술 상용화 및 금융/모빌리티 분야 챗봇 활용 강점.
    • 주가 및 시가총액: 약 5~6만 원, 시총 약 25조 원.
    • 가성비 평가: AI 챗봇 및 모빌리티 중심 성장 가능성 높음. 단, 모빌리티 사업의 수익성 변동성 주의.

     

    3) 코난테크놀로지 (402030)

    • 사업 내용: AI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 특히 음성/텍스트 분석 및 챗봇 솔루션 전문.
    • AI 기술 활용:
      • 챗봇: 자체 LLM 기반 B2B 챗봇 솔루션 제공. 금융, 공공, 의료 분야에서 고객 상담 및 데이터 분석에 활용.
      • AI 솔루션: NLP, 음성 인식, 텍스트 분석 기술로 기업용 AI 플랫폼 구축.
    • 2025년 실적 (3월 기준, 연결기준):
      • 매출액: 약 300억 원 (전년 대비 20% 증가).
      • 영업이익: 약 50억 원 (전년 대비 30% 증가).
      • 공공기관 및 금융권 프로젝트 수주로 안정적 성장.
    • 테마 연관성: 자체 LLM 보유로 AI 챗봇 시장에서 경쟁력. B2B 중심으로 안정적 수익 모델.
    • 주가 및 시가총액: 약 2~3만 원, 시총 약 1,500억 원.
    • 가성비 평가: 중소형주로 변동성 있지만, AI 챗봇 시장 확대 수혜 가능성 높음.

     

    4) 솔트룩스 (304100)

    • 사업 내용: AI 기반 데이터 분석, 챗봇, 음성 인식 솔루션 제공.
    • AI 기술 활용:
      • 챗봇: 생성형 AI ‘루시아’를 활용한 공공기관/의료 분야 챗봇 서비스.
      • AI 솔루션: 빅데이터 분석, NLP, 음성 인식 기술로 기업용 AI 플랫폼 제공.
    • 2025년 실적 (3월 기준, 연결기준):
      • 매출액: 약 250억 원 (전년 대비 15% 증가).
      • 영업이익: 약 30억 원 (전년 대비 25% 증가).
      • 공공기관 프로젝트 중심으로 매출 안정성 확보.
    • 테마 연관성: 생성형 AI 및 공공/의료 분야 특화로 경쟁력.
    • 주가 및 시가총액: 약 2~2.5만 원, 시총 약 1,200억 원.
    • 가성비 평가: 소형주로 단기 변동성 크지만, 공공 프로젝트 수주로 안정성 확보 가능.

     

    5) 로보로보 (215100)

    • 사업 내용: 교육용 로봇, 로봇 학습 소프트웨어, 교재 개발 및 판매.
    • AI 기술 활용:
      • 지능형 로봇: AI 기반 교육용 로봇 및 소프트웨어 개발. 코딩 교육 및 에듀테인먼트 로봇에 AI 기술 통합.
      • AI 솔루션: 로봇용 학습 알고리즘 및 데이터 분석 기술.
    • 2025년 실적 (3월 기준, 연결기준):
      • 매출액: 약 157.5% 증가 (약 100억 원).
      • 영업손실: 61.5% 감소.
      • 당기순손실: 96.7% 감소.
      • 중국 파트너사 협력으로 성장동력 확보.
    • 테마 연관성: 교육용 지능형 로봇 시장에서 독보적 위치. AI 기반 학습 소프트웨어로 차별화.
    • 주가 및 시가총액: 약 1~1.5만 원, 시총 약 800억 원.
    • 가성비 평가: 교육 시장 특화로 안정적 성장 가능. 소형주로 변동성 주의.

     

    6) 큐렉소 (060280)

    • 사업 내용: 의료 로봇 및 지능형 로봇 개발, 반도체 부품 제조.
    • AI 기술 활용:
      • 지능형 로봇: AI 기반 의료 로봇(예: 수술 보조 로봇) 개발. 정밀 제어 및 데이터 분석에 AI 적용.
      • AI 솔루션: 의료 데이터 분석 및 예측 모델 개발.
    • 2025년 실적 (3월 기준, 연결기준):
      • 매출액: 약 1.1% 감소 (약 200억 원).
      • 영업이익: 98.4% 감소.
      • 당기순이익: 적자 전환.
      • 판관비 상승으로 수익성 악화.
    • 테마 연관성: 의료 AI 및 로봇 시장에서 성장 가능성. 단, 단기 실적 부진으로 투자 주의.
    • 주가 및 시가총액: 약 1~1.5만 원, 시총 약 600억 원.
    • 가성비 평가: 의료 AI 시장 확대 기대, 하지만 실적 변동성으로 단기 투자 리스크.

     

    7) 유진로봇 (056080)

    • 사업 내용: 청소 로봇, 물류 로봇, 지능형 로봇 개발.
    • AI 기술 활용:
      • 지능형 로봇: 자율주행 로봇 솔루션(AMS) 및 라이다 센서 기반 물체/위치 인식 기술. 청소 로봇(아이클레보) 및 물류 로봇에 AI 적용.
      • AI 솔루션: 3D 비전 및 자율 이동 기술.
    • 2025년 실적 (3월 기준, 연결기준):
      • 매출액: 5.1% 감소 (약 150억 원).
      • 영업손실: 45.7% 감소.
      • 당기순손실: 48.1% 감소.
      • 판관비/인건비 감소로 손실 축소.
    • 테마 연관성: 자율주행 및 물류 로봇 시장에서 경쟁력. 밀레와의 협력으로 글로벌 시장 확대.
    • 주가 및 시가총액: 약 5,000~7,000원, 시총 약 500억 원.
    • 가성비 평가: 물류/청소 로봇 수요 증가로 성장 가능, 소형주로 변동성 주의.

     

    8) 로보티즈 (108490)

    • 사업 내용: 로봇 솔루션 및 액추에이터(다이나믹셀) 개발.
    • AI 기술 활용:
      • 지능형 로봇: 로봇 전용 액추에이터 및 AI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 서비스 로봇 표준화(ISO WG6) 참여.
      • AI 솔루션: 진동 억제 및 구동 최적화 기술.
    • 2025년 실적 (3월 기준, 연결기준):
      • 매출액: 약 100억 원 (전년 대비 10% 증가 추정).
      • 영업이익: 약 10억 원 (전년 대비 15% 증가 추정).
      • LG전자 인수로 안정적 성장.
    • 테마 연관성: 산업/서비스 로봇 시장에서 핵심 부품 및 소프트웨어 제공.
    • 주가 및 시가총액: 약 1~1.5만 원, 시총 약 700억 원.
    • 가성비 평가: LG전자 협력으로 안정성 확보, 중소형주로 성장 가능성 높음.

     

    3. 가성비 좋은 기업 추천

     

    AI 챗봇 중심

    • 코난테크놀로지: 자체 LLM 및 B2B 챗봇 솔루션으로 공공/금융 분야에서 안정적 성장. 소형주로 가격 부담 낮음(시총 1,500억 원). 초기 투자자에게 적합.
    • 솔트룩스: 생성형 AI ‘루시아’ 및 공공기관 프로젝트로 안정적 매출. 중소형주로 장기 성장 가능성.

     

    지능형 로봇 중심

    • 로보로보: 교육용 로봇 시장에서 독보적 위치. 중국 시장 진출로 성장동력 확보. 저렴한 주가(5,000~7,000원)로 가성비 우수.
    • 유진로봇: 자율주행 및 물류 로봇 시장 확대 수혜. 밀레와의 협력으로 글로벌 경쟁력. 소형주로 접근성 좋음.

     

    AI 솔루션 전반

    • 네이버: AI 챗봇, 클라우드, LLM으로 종합적 경쟁력. 안정적 대형주로 장기 투자 적합.
    • 카카오: 챗봇 및 모빌리티 AI로 다각화된 성장 가능성. 대형주로 안정성 확보.

     

    4. 투자 시 고려사항

     

    • 시장 전망: 국내 AI 시장은 2020~2022년 코로나19 기간 동안 급성장했으며, 2025년에는 생성형 AI 및 지능형 로봇 수요가 지속 확대될 전망.
    • 리스크:
      • 중소형주(로보로보, 유진로봇, 큐렉소 등)는 단기 실적 변동성 크므로 리스크 관리 필요.
      • 대형주(네이버, 카카오)는 안정적이지만, 주가 상승 여력이 상대적으로 제한적.
    • 정책 지원: 정부는 AI 및 로봇 산업을 국가 전략 산업으로 육성 중(2023년까지 로봇 시장 15조 원 목표). AI 인력 양성 및 바우처 지원 정책 강화.
    • 기술력 부족: 국내 AI 기업의 주요 애로사항은 내부 기술력 부족(49.7%)으로, 인재 확보 및 R&D 투자 중요.

     

    5. 결론

     

    AI 챗봇 및 지능형 로봇/AI 테마와 연관된 국내 상장 기업은 네이버, 카카오(대형주), 코난테크놀로지, 솔트룩스(챗봇 중심), 로보로보, 유진로봇, 로보티즈, 큐렉소(로봇 중심)로 요약됩니다. 가성비 측면에서는 코난테크놀로지로보로보가 중소형주로 초기 투자에 적합하며, 네이버는 안정성과 종합적 AI 기술력으로 장기 투자에 유리합니다. 투자 전 각 기업의 실적 변동성과 시장 수요를 면밀히 검토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