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STO(토큰증권 발행)와 전자결제(전자화폐)는 블록체인 기술과 디지털 금융의 핵심 테마로, 자본시장의 혁신과 결제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하에서는 각 테마의 구성 요소와 관련 국내 상장기업을 상세히 정리하겠습니다.
1. STO(토큰증권 발행)의 구성 요소
토큰증권(STO, Security Token Offering)은 부동산, 지분, 미술품 등 실물 자산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토큰화하여 증권 형태로 발행하는 금융 상품입니다. 전통 증권보다 유동성과 접근성이 높으며, 소액 투자자를 위한 조각투자가 가능합니다.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블록체인 플랫폼: 분산원장 기술(DLT)을 기반으로 자산의 토큰화, 발행, 유통, 관리 기능을 제공합니다. KYC(고객확인), AML(자금세탁방지), 스마트 컨트랙트가 포함됩니다.
- 자산 토큰화: 고가 자산(부동산, 예술품, 지분 등)을 디지털 토큰으로 변환하여 소액 단위로 거래 가능하게 합니다.
- 규제 준수: 자본시장법, 전자증권법, 디지털자산기본법(예정)에 따라 증권으로 분류되며, 금융당국의 감독을 받습니다.
- 조각투자: 고가 자산을 소액 단위로 분할하여 투자할 수 있는 모델로, 부동산 신탁 수익증권, 미술품 투자 등이 대표적입니다.
- 유통 및 거래소: 토큰증권의 거래를 위한 디지털 자산 거래소 또는 장외거래중개업 플랫폼과 수탁 서비스가 필요합니다.
2. 전자결제(전자화폐)의 구성 요소
전자결제는 전자화폐(디지털 화폐 또는 스테이블코인 포함)를 활용한 결제 시스템으로, 기존 금융 인프라보다 빠르고 저렴한 거래를 지원합니다. 한국에서는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도입과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이 주요 논의 과제입니다.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전자화폐: 법정화폐(예: 원화)에 가치가 연동된 스테이블코인 또는 선불전자지급수단(예: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으로, 결제와 송금에 활용됩니다.
- 블록체인 기술: 거래의 투명성과 보안성을 위해 블록체인 기반 결제 네트워크가 사용됩니다. 예: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경우, 준비금 관리와 거래 기록을 블록체인에 저장.
- 결제 인프라: PG(전자지급결제대행), VAN(부가가치통신망), 핀테크 플랫폼 등이 결제 프로세스를 지원합니다.
- 규제 프레임워크: 전자금융거래법, 디지털자산기본법(예정)에 따라 발행 주체(은행 또는 핀테크 기업), 준비금 기준, 사용처가 규제됩니다.
- 사용 사례: 소액 결제, 해외 송금, 디지털 자산 거래소 내 결제, 디지털 월렛 서비스 등.
3. 관련 국내 상장기업
STO 관련 상장기업
STO 테마는 블록체인 기술, 자산 토큰화, 조각투자 플랫폼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규제 완화와 법제화 기대감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주요 기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핑거 (Finger, 코스닥: 163730)
- 역할: 블록체인 기반 핀테크 솔루션 제공, STO 발행 및 유통 플랫폼 개발.
- 활동: 부동산 및 기타 자산의 토큰화를 지원하는 기술 개발에 집중. 2023년 대선 이후 STO 법제화 기대감으로 주가가 약 56% 상승.
- 관련성: 조각투자 플랫폼과 STO 인프라 구축에 강점을 보이며, 디지털 자산 시장의 초기 플레이어로 주목.
- 아이티아이즈 (ITIs, 코스닥: 372800)
- 역할: STO 발행 솔루션 ‘패스토(FASTO-CS)’를 통해 자산 토큰화, 발행, 유통을 지원.
- 활동: 패스토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한 자동화 플랫폼으로, 2023년 주가가 약 46% 상승하며 시장 관심을 끌었습니다.
- 관련성: 부동산, 미술품 등 다양한 자산의 토큰화 기술 제공자로, STO 시장 확대에 기여.
- 갤럭시아머니트리 (Galaxia Moneytree, 코스닥: 094480)
- 역할: 항공기 엔진, 부동산 등 실물 자산을 신탁하여 전자 수익증권을 발행, 조각투자 플랫폼 운영.
- 활동: 2023년 대선 기간 주가가 약 23% 상승하며 STO 테마주로 부각.
- 관련성: 실물 자산의 유동화와 조각투자에 특화된 사업 모델로, STO 시장의 핵심 플레이어.
- 뱅크웨어글로벌 (Bankware Global, 코스닥: 099830)
- 역할: 블록체인 기반 STO 소프트웨어 개발, 증권사 및 금융기관에 거래 플랫폼 솔루션 제공.
- 활동: STO 유통 및 거래소 시스템 개발에 주력하며, 2023년 주가가 약 9% 상승.
- 관련성: STO 시장의 백엔드 인프라 구축에 기여하며, 금융기관과의 협업 가능성 높음.
- 세종텔레콤 (Sejong Telecom, 코스닥: 036630)
- 역할: 중소벤처기업부 실증특례를 통해 수익증권 거래 시장을 개설, STO 기반 금융투자업 영위.
- 활동: 금융위원회 혁신금융서비스 지정으로 부동산 신탁 기반 수익증권 발행 및 거래를 추진.
- 관련성: 규제 샌드박스 내에서 STO 시장의 초기 진입자로, 조각투자 확대에 기여.
전자결제(전자화폐) 관련 상장기업
전자결제 테마는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 디지털 월렛, PG/VAN 서비스를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핀테크와 블록체인 기술의 융합이 핵심입니다. 주요 기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 KG이니시스 (KG Inicis, 코스닥: 035600)
- 역할: 국내 최대 전자지급결제대행(PG) 업체로, 온라인 및 모바일 결제 솔루션을 제공.
- 활동: 블록체인 기반 결제 시스템 도입을 검토하며, 스테이블코인 결제 지원 가능성 탐색. 2024년 매출 성장률 약 12% 기록.
- 관련성: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 시 결제 인프라 제공자로서 핵심 역할 예상.
- 다날 (Danal, 코스닥: 064260)
- 역할: 모바일 결제 및 PG 서비스 제공,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화폐 결제 솔루션 개발.
- 활동: 자체 디지털 화폐 ‘페이코인(PCI)’을 통해 결제 및 송금 서비스를 운영하며, 스테이블코인 연동 가능성 모색.
- 관련성: 디지털 화폐 결제 플랫폼과 블록체인 기술로 전자결제 시장에서 경쟁력 보유.
- NHN KCP (NHN KCP, 코스닥: 060250)
- 역할: 전자결제 PG 및 VAN 서비스 제공, 블록체인 기반 결제 기술 개발.
- 활동: 디지털 자산 결제 시스템과 원화 스테이블코인 지원을 위한 기술 협력 추진. 2024년 결제 거래액 약 10% 증가.
- 관련성: 결제 인프라와 블록체인 기술 융합으로 스테이블코인 결제 시장 진입 가능.
- 갤럭시아머니트리 (Galaxia Moneytree, 코스닥: 094480)
- 역할: 전자화폐 발행 및 결제 서비스 제공, 선불전자지급수단 ‘머니트리’ 운영.
- 활동: 블록체인 기반 결제 시스템과 스테이블코인 연동을 검토하며, STO와 전자결제 간 시너지 창출.
- 관련성: 전자화폐와 STO를 결합한 디지털 금융 서비스로 시장 확대 가능.
- 웹케시 (Webcash, 코스닥: 053580)
- 역할: B2B 전자결제 및 핀테크 솔루션 제공, 블록체인 기반 결제 시스템 개발.
- 활동: 기업向け 디지털 결제 플랫폼 ‘인하우스뱅크’ 운영, 스테이블코인 결제 지원 가능성 탐색.
- 관련성: 기업 중심의 전자결제 시장에서 블록체인 기술로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
증권사 및 금융기관
- KB증권, 신한투자증권, NH투자증권:
- 역할: STO 플랫폼 구축 및 조각투자 서비스 제공, 전자결제 시스템과의 연동 검토.
- 활동:
- KB증권: SK C&C, 뱅카우, 소투와 협업하여 미술품, 한우 기반 STO 서비스 개발. 전자결제 시스템 통합 계획.
- 신한투자증권: 두나무, 소투와 STO 얼라이언스를 통해 미술품 조각투자 플랫폼 운영, 디지털 월렛 연동 추진.
- NH투자증권: 명품, 미술품 기반 STO 서비스 제공, 전자결제 인프라와의 시너지 모색.
- 관련성: STO와 전자결제를 융합한 디지털 금융 상품 개발로 시장 선도 가능.
4. 시장 전망 및 기대감
- STO:
- 2025년 7~8월 자본시장법 및 전자증권법 개정으로 STO 발행과 유통이 본격화될 전망.
- 국내 조각투자 시장은 2024년 34조 원에서 2030년 367조 원(GDP 14.5%)으로 성장 예상.
- 전자결제(전자화폐):
-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은 2025년 하반기 로드맵 발표 예정, 한국은행과 금융위의 협의가 핵심.
- 전자결제 시장은 2024년 150조 원에서 2030년 300조 원 규모로 확대 전망.
- 시너지: STO와 전자결제는 블록체인 기술로 연결되며,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한 토큰증권 결제 시스템이 새로운 표준으로 부상 가능.
5. 리스크 및 과제
- 규제 불확실성: STO는 자본시장법, 전자결제는 디지털자산기본법과 전자금융거래법 간 조율 필요. 한국은행과 금융위의 주도권 갈등이 지연 요인.
- 기술 안정성: 블록체인 플랫폼의 보안성과 확장성이 시장 성공의 관건.
- 투자자 보호: STO의 정보비대칭, 전자결제의 사기 및 자금세탁 방지를 위한 감시 체계 구축 필요.
- 시장 성숙도: 글로벌 STO 및 스테이블코인 시장도 초기 단계로, 국내 시장의 유동성과 신뢰성 확보가 과제.
반응형